본문 바로가기
궁금해요

기소? 기소유예, 기각 뜻 <간단 정리>

by 10분간 쉬어 2023. 3. 23.

기소-기소유예-기각
기소

뉴스를 보다 보면 (기소, 기소유예, 기각)이라는 단어 한 번쯤은 들어 보셨을 텐데요. 여러분들은 이 단어들 뜻에 대해 잘 이해하고 계시나요? 보통 일상생활에 크게 쓰이지 않아 "아 그런가 보다" 하시고 넘어가시는 분들이 계실 텐데요. 이 단어들은 살아가면서 도움이 될 수 있으니 한번 참고해 두시면 좋겠습니다.

 


법원-재판-기소-형사
법정

기소 뜻

'기소'의 사전적 의미는 '검사가 일정한 형사사건에 대하여 법원에 심판을 구하는 행위'라고 명시되어있습니다. '기소'는 검사만이 법원에 심판 청구를 하는 것으로 검사의 '기소' 진행은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형사사건 발발 -> 1차 경찰 수사 -> 경찰이 담당 사건을 검찰에 송치 -> 검찰 조사 -> 유죄가 확실시 검사가 법원에 피의자를 '기소' -> 재판

 

우선 형사사건의 진위여부 끝에 유죄가 맞다면 검사는 공소장을 법원에 제출하여 피의자에 재판이 열리게 됩니다. 기소에는 세 가지 기소가 있는데 각 기소의 뜻은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  • 구속 기소 : 범죄자가 도주의 우려가 있으면 수사기관에 구속을 한 뒤 재판에 넘기는 것을 뜻합니다.
  • 불구속 기소 : 범죄자가 도주의 우려가 없음을 판단해 따로 수감시설에 구속을 하지 않고 재판에 바로 넘기는 것을 뜻합니다.
  • 불기소 : 사건을 받은 검사가 피의자의 범죄 행실이 무죄라고 판단이 들었을 때 따로 법원에 넘기지 않는 것을 뜻합니다.

기소유예-검사-특권
재판

기소유예 뜻

'기소유예'란 사전적 의미로 '검사가 해당 형사사건에 범인의 범죄 행위를 인정하지만 범인의 나이, 성격, 연령, 환경, 범죄의 경중 등 범행의 정황 따위를 참작하여 법원에 공소 제기를 하지 않는 것"이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. 사건을 받은 검사가 피의자의 억울함과 여러 정황을 따졌을 때 피의자에게 기회를 주는 것으로 이것을 '기소편의주의'라고 합니다.


기각-부결-판사-재량
기각

기각 뜻

'기각'의 뜻은 소송을 수리한 법원이 그 사건 내용이 실체적으로 이유가 없다고 판단하여 소송을 종료하는 것을 뜻합니다. 예시로 검사가 법원에 한 피의자를 구속 영장을 신청했는데 재판부에서 이를 '기각'을 처리한다면 그것은 불구속으로 처리한다는 말이 됩니다. 한마디로 쉽게 설명하자면 '거절'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.


마무리

오늘 이렇게 법정 용어(기소, 기소유예, 기각) 뜻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! 앞으로 이 용어들이 나왔을 때는 쉽게 이해하셨으면 좋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

반응형

댓글